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총정리 5
민족 대명절 추석 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차례상입니다. 스크롤을 내려 차례상 음식 배치 순서부터 지방 쓰는 방법까지 모두 확인해 보세요.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민족 대명절 추석 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차례상입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 차례 절차가 간소화되거나 아예 생략하는 가정도 늘면서, 기본적인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실시간 검색어가 있던 시절에는 매년 추석 당일마다 ‘추석 차례상’이 상위권에 오르곤 했죠. 스크롤을 내려 차례상 음식 배치 순서부터 지방 쓰는 방법까지 모두 확인해 보세요.
기본 원칙은 동서남북 방향
」차례상에서 북쪽은 신위(위패)가 있는 자리이며, 지방이나 신주를 모십니다. 이때 제사를 주관하는 제주(제사 주체)가 앉는 방향은 남쪽이 됩니다. 따라서 제주가 상을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됩니다.

추석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출처: 게티이미지
추석 차례상은 단순히 음식을 올려두는 것이 아니라, 방향과 순서에 맞춰 정성스럽게 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대표적인 격언에 따라 음식 위치를 점검해 보세요.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조율이시: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올린다.
좌포우혜: 포는 왼쪽, 식혜·젓갈류는 오른쪽에 놓는다.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제주 기준 오른쪽), 고기는 서쪽(왼쪽)에 놓는다.
두동미서: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한다.
건좌습우: 마른 것은 왼쪽,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접동잔서: 접시는 동쪽, 잔은 서쪽에 둔다.
우반좌갱: 밥은 오른쪽, 국은 왼쪽에 놓는다.
남좌여우: 제상 앞에서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선다.
5열에 맞추어 음식 배치
」
추석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출처: 게티이미지
전통적으로 추석 차례상은 5열로 나누어 음식을 배치합니다. 신위와 가장 가까운 1열에는 밥과 국을 올리며, 추석에는 떡국을 올리기도 합니다. 2열은 구이와 전을 올리는 자리로, 생선이나 고기 구이, 두부전, 동그랑땡 등을 놓습니다. 3열에는 맑은 탕이나 곰탕 같은 탕류를, 4열에는 고사리·시금치 같은 나물과 배추김치 등을 고루 배치합니다. 마지막 5열에는 대추, 밤, 배, 곶감과 같은 과일류와 한과, 송편, 강정 등을 준비합니다.
차례상 차릴 때 피해야 하는 것
」
추석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출처: 언스플래쉬
차례상에는 올리지 말아야 할 음식도 있습니다.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다고 하여 올리지 않으며, 고춧가루나 마늘과 같은 향신료 역시 같은 의미에서 피해야 합니다. 또한 꽁치, 갈치, 멸치, 삼치, 참치처럼 ‘치’로 끝나는 생선은 부정적인 의미로 여겨 제사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치’는 부끄러움과 어리석음을 뜻하는 한자이기에 귀하지 않아 값이 저렴하고 비린내가 심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죠.
지방 쓰는 방법
」
추석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출처: 언스플래쉬
위패 대신 종이에 쓰는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를 사용하며, 가장 앞에는 ‘顯(나타날 현)’자를 적습니다. 이어 고인의 이름, 제주와의 관계, 직위 등을 순서대로 적고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붙여 마무리합니다. 부모님 두 분을 함께 모실 경우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모실 경우에는 중앙에 씁니다. 고인과 제주의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 할아버지는 ‘조고’, 할머니는 ‘조비’, 증조 이상에는 ‘증’과 ‘고’를 앞에 붙입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는 ‘顯考○○府君神位’, 어머니는 ‘顯妣○○孺人神位’라고 쓰죠.
Credit
- Photo 언스플래쉬
- 게티이미지
JEWELLERY
#부쉐론, #다미아니, #티파니, #타사키, #프레드, #그라프, #발렌티노가라바니, #까르띠에, #쇼파드, #루이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