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메스가 선택한 신예 조각가 현남의 '현대 축경' | 에스콰이어코리아
LIFE

에르메스가 선택한 신예 조각가 현남의 '현대 축경'

현남이 만든 현대 스케이프의 축경.

ESQUIRE BY ESQUIRE 2021.08.21
 
 

Junk-Scape

 
아뜰리에 에르메스에 전시된 현남의 조각을 보면 질문의 방울들이 의식의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한다. 대체 어떻게 만들어낸 것일까? 조각에서 작품을 만드는 과정은 놓쳐서는 안 될 맥락이다. 그 과정 자체가 의미가 되기도 하니까. 현남은 더 그렇다. 그는 자신이 ‘굴’을 파고 그 굴에 질료를 들이부어 굳힌 후 다시 이를 ‘채굴’한다고 말한다. 단열재로 자주 쓰이는 스티로폼 혹은 핑크색 보드(아이소핑크)로 거대한 덩어리를 만든 후 그 안에 굴을 판다.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굴을 판 후에 액체 상태의 에폭시를 부어 굳힌다.
 
‘쌍둥이.' 에폭시수지, 안료, 시멘트, 탤크, 유리섬유, 철, 폴리스티렌.

‘쌍둥이.' 에폭시수지, 안료, 시멘트, 탤크, 유리섬유, 철, 폴리스티렌.

이 과정은 개미굴에 액체 상태의 금속을 부어 굴 모양을 캐스팅해내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결과는 다르다. 에폭시는 경화되는 과정에서 열을 뿜는다. 이 열이 굴의 질료인 스티로폼을 녹인다. 굴의 모양엔 어쩔 수 없이 우연이 더해진다. 그 뒤에 끄집어내는 ‘채굴’ 과정에서 다시 의도적인 우연이 덧입혀진다. 현남은 최종적으로 거푸집인 폴리스티렌(스티로폼과 아이소핑크) 덩어리를 아세톤으로 녹여 결과물을 끄집어낸다. ‘기지국’, ‘쌍둥이’ 등의 작품을 보면, 현남은 그 과정을 생생히 상상할 수 있도록 재료들이 반응한 흔적을 고스란히 남겨두기도 한다.

 
‘파노라마(덫).' 에폭시수지, 안료, 시멘트, 유리섬유, 아크릴, 나무, 폴리스티렌.

‘파노라마(덫).' 에폭시수지, 안료, 시멘트, 유리섬유, 아크릴, 나무, 폴리스티렌.

마치 수석에 새겨진 물결 무늬처럼. 이 모든 것이 현대적 랜드스케이프의 축경이다. “조각을 통해 풍경을 다룬다는 생각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수석(水石)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습니다.” 작가 현남은 말한다. “수석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며 한 가지 흥미롭게 다가온 것이 ‘축경’이라는 개념이었습니다. 수석의 축경이 흥미로운 이유는 그 방식이 디오라마에서처럼 실재하는 풍경을 고스란히 작은 크기로 재현하는 것이 아닌, 자연에서 발견한 사물 그 자체를 작은 풍경으로 제시한다는 점입니다.”

 
‘축산(쌍봉)’. 에폭시수지, 안료, 시멘트, 폴리스티렌.

‘축산(쌍봉)’. 에폭시수지, 안료, 시멘트, 폴리스티렌.

수석이 축경일 수 있는 이유는 풍경을 만드는 재료, 즉 풍경의 바탕인 땅과 돌이 같은 구성 성분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아뜰리에 에르메스의 아트디렉터 안소연이 렘 콜하스의 말을 빌려 ‘정크스페이스’라 부른, 현남이 배회한 도시의 풍경은 무슨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아스팔트, 시멘트, 철근 그리고 스티로폼과 아이소핑크가 아닐까?

 

Keyword

Credit

    EDITOR 박세회
    PHOTO 에르메스
    DIGITAL DESIGNER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