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이 곧 힘이다
① 2019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난 200만 년 중 가장 높다.
② 지구 온도 상승 속도도 지난 2000년 중 가장 빠르다.
③ 늦여름 북극 해빙 면적은 지난 1000년 중 최소다.
④ 평균 해수면 상승은 지난 3000년 중 가장 빠르다.
⑤ 이 모든 현상의 원인은 99% 인류다.
피부에 잘 와닿지 않는다면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말해볼 수 있다. 지난 100년간 우리나라 여름 일수는 약 한 달(29일) 증가했다. 봄·가을이 없어지는 것 같다고 느꼈던 건 기분 탓이 아니다.

지난해 9월,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 때문에 주황색으로 변한 하늘. 서울시 크기의 약 16배가 전소됐다. 기후변화가 지속되면 산불 발생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국은 이미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영국은 2019년 탄소중립에 대한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법’을 통과시켰다. 2030년까지 해상 풍력발전 용량을 40GW(기가와트)까지 확대한다. 또한 저탄소 수소 생산 효율 향상을 위해 약 3300억원을 투자했다. 독일 역시 2045년까지 완전한 탄소중립 달성을 천명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65%로 늘리고 전기차를 최대 1000만 대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스케일이 더 크다. 바이든 정부는 4년간 2조 달러(약 2400조원)를 기후변화 대응과 청정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쏟아붓는다. 이처럼 선진국들은 적극적으로 탄소중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같은 수출 위주의 나라와 개발도상국들에게는 당장 ‘발등의 불’이 되었다. ‘Fit 55’ 같은 제도나 제품 생산에 100% 재생에너지만 사용하는 ‘RE100’ 등도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통해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시도라고 반발하고 있다. ‘신종 보호무역’이라는 주장도 있다.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 주요 선진국 중 우리나라가 미국에 이어 2위이지만 곧 1위가 될지도 모른다. 미국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4년간 약 2400조원을 투입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걸음마 수준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Who’s the writer
전의찬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환경관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에서 책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후환경융합센터 센터장이자 2050 탄소중립위원회 기후변화위원장도 맡고 있다.
[관련기사]
IPCC 6차 기후변화 보고서가 말하는 것_인류멸망 시나리오? 보러가기
IPCC 6차 기후변화 보고서가 말하는 것_도시가 답이다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