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 그리울 수 있을까? | 에스콰이어코리아
LIFE

미래가 그리울 수 있을까?

답은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에 있다.

박호준 BY 박호준 2021.12.30
현대 모터스튜디오는 서울, 베이징, 모스크바 등 총 6개의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다. 그 중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은 ‘디자인’ 중심이다.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이나 고양처럼 자동차가 전시된 공간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굳이 빗대어 설명하자면, 갤러리에 더 가깝다. 
지난 12월 9일 〈미래가 그립나요?〉 전시가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에서 공개됐다. 전시는 심소미 큐레이터의 지휘 아래 꾸며졌는데, 그녀는 ‘현대 블루 프라이즈 디자인’ 수상자이다. 현대 블루 프라이즈 디자인은 국내 디자인 큐레이터를 발굴해 전시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글로벌 무대로의 도약까지 지원하는 현대자동차의 어워드 프로그램이다.
 
〈미래가 그립나요?〉의 포스터로 시계를 오브제로 사용했다.

〈미래가 그립나요?〉의 포스터로 시계를 오브제로 사용했다.

〈미래가 그립나요?〉 전시는 그래픽 디자이너, 건축가, 시각예술가 등 총 14팀이 참여해 15개의 작품을 선보인다. ‘시간의 가치’라는 대주제 아래 ‘포스트 시티’ ‘고스트 워크 & 휴먼’ ‘하이퍼 오브젝트’ ‘2050’으로 구분된 4개의 파트는 각각 도시, 산업, 객체, 근미래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러 작품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건, 피플즈 아키텍처 오피스의 ‘리미널시티’다. 아연 도금 강판을 이용해 만든 거대한 금속 튜브 구조물이 건물 안팎과 2~3층을 연결한다. 피플즈 아키텍처는 작품에 대해 “자동차 배관, 송수관 등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원을 공급하고 연결하는 튜브의 속성을 이용해 미래 사회에서 인간과 산업,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조망하고자 했다”고 설명한다. 튜브 안에 거울을 설치해 잠수함의 잠망경처럼 1층에서 2층, 2층에서 3층을 서로 엿볼 수 있는 것도 소소한 재미다.  
 
전시 후반부에 위치한 ‘어린이’ 역시 관람객과 작품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미래는 이미 여기에 와있다. 널리 퍼지지 않았을 뿐이다”라는 윌리엄 깁슨의 문구에서 영감을 받아 ‘미래 어른’인 어린이를 주제로 했다. 디스플레이에 재생되는 영상 맞추어 개구리 모양의 캐스터네츠를 두드리는 간단한 구성이지만, 관람객에게 어린 시절로 돌아간 듯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과거와 현재의 연결은 어린 시절 꿈꾸었던 미래에 대한 상상과 희망을 떠올리게 하는 지점까지 관람객을 이끈다. 안성석 작가는 작품을 통해 ‘다음 세대에게 되돌려주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고 밝혔다.  
 
전시는 내년 3월 31일까지 이어진다. 예약하지 않더라도 입장할 수 있지만, 가이드 투어에 참여하고 싶다면 현대 모터스튜디오 웹사이트를 통해 예약해야 한다. 관람료는 없다. 스튜디오 외부 대형 디스플레이 ‘미디어 월’에 새롭게 추가된 영상도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을 방문했다면 놓치지 말아야 할 볼거리다. 참고로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은 복합문화공간 ‘F1963’에 있다. 다른 즐길 거리도 가득하다는 뜻이다.  
 
심소미 디자인 큐레이터 QnA
Q 디자인 전시라는 표현이 조금 생소한 개념으로 느껴질 수 있을 것 같다.  
A. 디자이너가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디자인 큐레이팅’에 대한 개념 자체가 낯선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더욱 디자이너가 아티스트로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주고 싶었다.  
 
Q. 디자이너와 아티스트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
베이스를 어디에 두고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본다. 물론 전시를 준비하다 보면 경계가 모호해지는 지점이 존재한다. 건축가로 예를 들어 보자면, 실제 건물로는 구현할 수 없는 아이디어를 작품으로 풀어내는 식이다.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많은 디자이너가 ‘작품으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목마름이 크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Q. ‘시간의 가치’라는 주제를 처음 접했을 땐 어떤 생각이 들었나?
일상을 회복하고자 하는 전 인류적 노력에 집중했다. 현재라는 시점에서 보았을 때 미래를 (펜데믹 이전)과거로 되돌리고 싶어하는 상황이 지금 우리의 ‘시간의 가치’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걸 실현하는 방법으로 ‘소통’을 제안한다.  
 
Q.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을 실제로 보고 난 후 전시 계획을 수정한 것도 소통의 일환인가?
해외에 머물며 큐레이팅을 하다 보니 도면과 사진으로 처음 스튜디오를 접했다. 그런데 직접 와서 보니 통유리창을 통해 쏟아지는 자연광이 건물 안팎을 시시각각 다른 분위기로 연출하며 연결하고 있었다. 예술보다 일상 영역에 더 가까운 디자인 전시라면, 일상 공간인 도시와 스튜디오를 친밀하게 연결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원래 벽면에 그리려고 했던 드로잉을 건물 외벽 유리로 옮긴 것도 외부와의 연결 지점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다.
 
Q. 관람객이 얻어갔으면 하는 것은 무엇인가?  
크게 2가지다. 첫 번째는 펜데믹 이후 커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소통의 확장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세지다. 두 번째는 ‘이게 디자인 전시야?’라는 신선한 놀라움이다. 이번 전시를 계기로 많은 사람이 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고 재정의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