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E

part 2. '쿨한데 귀여운 언니'라는 이미지에 대한 신혜선의 답

신혜선은 아직도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다고 했다. 사실 딱히 답을 찾아낼 생각도 없어 보였다. 조용하게, 시끄럽게, 냉철하게, 상냥하게, 좋아하는 일을 오래도록 열심히 하며 살 수 있다면 그걸로 될 뿐.

프로필 by 오성윤 2024.01.24
블루 니트 풀오버, 스커트 모두 루이 비통. 블랙 워커 닥터마틴. 글리터 삭스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블루 니트 풀오버, 스커트 모두 루이 비통. 블랙 워커 닥터마틴. 글리터 삭스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올해로 데뷔 13년 차가 됐는데, 최근에야 혜선 씨에게 생기는 새로운 이미지 같은 게 있는 것 같아요. 말로 표현하자면… ‘쿨한데 귀여운 언니’ 같은 느낌?
<SNL>이나 <유퀴즈> 같은 예능 프로그램 영향이 큰 것 같아요. 이제 나이도 서른이 넘었고, 키도 크고 하니까 그냥 그런 이미지로 봐주시는 거 아닐까요? 저는 쿨하지는 않은 것 같아요. 전혀 쿨한 사람이 아니에요.
귀엽다는 부분은 인정하시는 건가요?
(잠깐 머뭇거리다가) 귀엽지도 않아요.
이 부분은 약간의 여지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데요.
아, 저도 제가 귀여운 사람이면 좋겠는데.(웃음) 그런데 아닌 것 같아요. 남들이 보는 것보다 되게 시크하고, 쿨하다고 하기에도 되게 소심하고 생각도 너무 많은 편이에요.
저도 사실 오늘 인터뷰에 어떤 사람을 마주하게 될지 가늠이 잘 안 됐던 것 같아요. 혜선 씨는 어떻게 보면 굉장히 시원시원한 것 같은데 또 되게 조심스럽고, 섬세한 것 같다가도 굉장히 상냥하고, 엉뚱한가 하면 모든 걸 정연하게 정리하고 싶어 하는 사람 같기도 했거든요.
맞아요. 저도 그게 다 저 같아요. 어디 가면 되게 얌전해지고, 어디 가면 되게 시끄럽고, 어떤 사람 만나면 시크해지는데 또 어떤 사람을 만나면 애교가 많아지고. 그래서 인터뷰에서 보통 이런 질문 많이 나오잖아요. “혜선 씨는 어떤 사람이에요?” 저는 그때마다 모르겠다고 답해요. 저는 저를 잘 모른다고.
그렇게 스스로를 속단하고 규정하지 않아 재미있는 사람이 된 걸지도 모르죠.
그러네요. 스스로 ‘나는 어떤 사람이야’라고 규정을 짓지 않는 것 같아요. 그래야 자존감이 덜 떨어지거든요. 어떤 일을 하면서 내가 생각했던 내 자신이랑 좀 다른 방향으로 행동하게 되면 스스로에게 실망하게 되잖아요. 저는 사실 그게 제일 힘든 것 같아요.
스스로를 잘 모른다고 하시니, 혹시 엿볼 수 있을 만한 질문을 하나 드려도 실례가 안 될까요?
네. 좋죠.
사람에게서 가장 좋아하는 속성과 싫어하는 속성이 뭐예요?
저는 미안해할 줄 안다는 게 제일 좋아요. 그리고 싫어하는 건 가르치려 드는 거. 그건 어릴 때부터 싫어했어요. 어른들이 뭘 가르쳐주려고 하면 그게 그렇게 듣기 싫었어요. 아기가 맨날 혼자 뭘 하겠다고.(웃음) 청개구리였죠.
블루 니트 풀오버 루이 비통.

블루 니트 풀오버 루이 비통.

만약 그런 사람을 연기한다면 어떨까요? 입만 열면 저절로 훈수가 나오는 구제 불능의 꼰대를 맡는다면?
상관없어요. 재미있으면 뭐든 좋죠. 내가 싫어하는 종류의 사람이라도 그걸 연기적으로 푸는 건 다른 문제이니까요. 꼭 선한 역할, 멋있는 역할만 맡아야 하는 건 아니잖아요. 이런 부분은 있을 수 있죠. 영화 <타겟>을 하면서 초반에 좀 힘들었던 게, 대본으로 읽었을 때 개인적으로 주인공인 수현이가 그렇게 호감이 가는 인물이 아니라고 느껴진다는 부분이었어요. 그런데 그 영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주인공의 상황에 몰입하고 감정을 이입하게 만들어야 하는 부분이 있잖아요. 물론 매력적이지 못한 인물인 채로도 사람들을 끌어들여 몰입시키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저는 아직 좀 조심스럽거든요. 사람들이 이입하기 힘들지 않을까 하고 고민되는 지점이 있었죠.
힘들었다고 하셨는데, 몇 달 전에 인터뷰한 김성균 배우는 <타겟>을 촬영한 소감에 대해 이렇게 얘기했어요. “역시 신혜선은 신혜선이더라.”
에이. 그건 그냥 하시는 말씀이죠.
스스로에 대한 칭찬이 나올 때마다 너무 겸양의 제스처를 취하시는 것 같아요. 자부심 섞인 말씀을 한 번만 들어볼 수 있을까요? 누군가 ‘신혜선은 신혜선이더라’라고 했다면 그게 어떤 뜻이었을 거라고 생각하는지? 기사에 제가 이렇게 열심히 부탁드려서 한 답이라고 단서도 붙일게요.(웃음)
하하하. 글쎄요. 열심히 했다? 집중하려고 노력하더라? 뭐가 있을까. 너무 어렵네요. 이게, 요즘은 또 자기 어필 시대가 아니에요. 다시 겸손의 시대가 돌아왔다고요.(웃음)
그건 또 맞는 말이네요.
그래서 예전에 한동안 제가 그런 얘기를 많이 듣긴 했어요. “혜선 씨, 겸손만이 미덕이 아닙니다.” 제가 딱히 겸손하게 굴려고 한 것도 아니었거든요. 그냥 내세워서 뚜렷하게 자랑할 만한 게 없는 사람인 거죠. 제가 어떤 분야의 1인자라면 당연히 자부심을 드러낼 수 있겠지만, 그런 게 아니잖아요. 실체가 없는 걸 끌고 와서 굳이 자랑할 필요가 없는 거예요. 막 자랑해놓고 나중에 가서 잘 못하면 너무 창피하잖아요. 그럼 그게 스스로를 옥죄는 굴레가 되어버리는 거죠. 자기가 한 자랑을 못 지킬까 봐 전전긍긍하고, 얽매이고, 부자연스러워지고. 저는 그래서 자기 어필 시대가 지나가고 겸손의 시대가 온 게 참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럼 표출하기가 싫다뿐이지 혜선 씨 안에는 자부심이 있는 건가요?
그럼요. 저는 제가 한 모든 작품에 자부심이 있고, 다 제가 낳은 자식들 같아요. 물론 그게 따지고 보면 감독님 작가님 자식인데, 제가 갑자기 제 자식이라 주장하는 것 같아서 죄송하지만.(웃음) 아무튼 시청률이 어떻고 평가가 어떻게 됐든, 하나도 안 빼놓고 모든 작품과 캐릭터가 저한테는 소중해요. 자부심이 있죠.
화이트 드레스, 블랙 브라톱 모두 가브리엘라 허스트. 화이트 스니커즈 컨버스. 이어링 프레드. 글리터 삭스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화이트 드레스, 블랙 브라톱 모두 가브리엘라 허스트. 화이트 스니커즈 컨버스. 이어링 프레드. 글리터 삭스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혜선 씨 인터뷰를 보다 보면, 투박한 표현인데도 혜선 씨가 했다는 데에서 감동이 오는 부분들이 있더라고요. 농담으로라도 진심이 아닌 말은 못 하는 사람이라는 게 보이니까요.
그래요? 어떤 부분이? 저는 뭐 평생 감동적인 말 같은 걸 한 적이 없는 것 같은데요.
일단 지금 떠오르는 건 이거예요. 예전에 어느 인터뷰에서 배우로서의 스스로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한 적이 있는데요. “나는 내 자신을 너무 사랑한다. 내 얼굴도 좋고 다 좋다. 이번 작품 초반 댓글을 보니까 나보고 안 예쁘다는 사람들이 많더라. 내가 보기엔 너무 예쁜데.” 정확한지는 몰라도 대충 이런 내용이었어요.
(웃음) 맞아요. 저는 제 얼굴이 좋아요. 언제 한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제가 대중에 얼굴이 많이 알려지지 않았을 때 한 말이었을 것 같은데, 이제 오래 보셨으니까 익숙해지셨을 거잖아요. 심지어 예뻐 보일 수도 있을걸요? 이제는 저를 예쁘다고 해주시는 분들도 계실 거라, 저는 만족스럽습니다.
마지막으로 상투적인 질문 하나 드리고 인터뷰를 끝낼까 봐요. 요즘 혜선 씨 작품이 연달아서, 다양하게 나오면서 ‘전성기’라는 표현을 떠올리게 되는데요. 스스로는 지금이 배우 신혜선에게 어떤 시기라고 생각해요?
음. 상투적이라고 하셨는데 또 깊이 고민하게 되네요.
원래 식상한 질문이 답변자에게는 제일 어렵죠.
(잠시 생각하다가) 얘기하기 좀 오글거리지만 그냥 해볼게요. 저는 요즘 새로움을 찾는 시기인 것 같아요.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갈수록 설렘을 느끼는 빈도가 옅어지고 강도는 점점 세지는 것 같거든요. 그러니까 웬만한 일로는 설레지 않는데 한번 열정이 생기면 아주 강렬한 거죠. 정말 그래요. 저는 신이 나면 세상 무슨 일이 있어도 화가 안 나요. 누구의 어떤 것이든 다 수용할 수 있고 밤을 계속 새우면서도 일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요즘 어떤 걸 하면 제가 더 열정을 가질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찾아가고 있어요. 매너리즘이나 번아웃에 대비하고 더 재미있게 일하면서 오래 살 수 있기 위해서… 그런데 이게 질문에 대한 답이 맞아요?
어… 살짝 다른 것 같긴 하지만….
그쵸. 굉장히 엇나간 것 같은데.(웃음)
아무튼 진심 어린 마음이 느껴져서 저는 너무 좋았습니다. 제가 답에 맞춰서 질문을 좀 바꿔 써보든 할게요.
(웃음) 죄송합니다. 제가 체력이 다 됐나 봐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Credit

  • EDITOR 오성윤
  • PHOTOGRAPHER 최문혁
  • STYLIST 최자영
  • HAIR 백흥권
  • MAKEUP 김수빈
  • ASSISTANT 신동주
  • ART DESIGNER 박인선

MOST LIK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