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후루 하나에 3000원인 시대에, 숙성 삼겹살 100g당 2900원이라면 믿겠는가. 심지어 숙성 목살 2900원, 돼지갈비 3900원, 생막창, 오도독갈비, 모서리살, 갈매기살, 꼬들살, 뽈살 등 인기 많은 부속 고기도 100g에 5000원을 넘지 않는다. 1인분 평균이 180~200g이라고 봐도 삼겹살 1인분이 6000원이 넘지 않는 셈. 합리적인 가격의 비결은 셀프바를 통해 인건비를 최대한 아끼고, 마진을 최대한 남기지 않는 선에서 제공한다고. 단순히 가격만 저렴한 게 아니라 숙성된 고기 맛까지 뛰어나 수원 주민에게 사랑받는 곳이다. 테이블당 3000원의 찬비가 있으니 참고할 것.
떡볶이 1인분에 500원이던 시절이 있었다. 요즘은 1만원을 넘어 2만원을 향해 가는 시대니 2000원대만 봐도 반갑다. 그런데 먹깨비김밥은 앞자리 수가 다르다. 떡볶이 1인분에 1500원. 게다가 어묵은 500원, 야채 김밥은 2500원이다. 가격에서 느낀 반가운 마음은 맛에서도 이어진다. 달짝지근하고 고전적인, 모두가 기억하는 초등학교 앞 떡볶이 맛이다.
상호부터 내공이 느껴지는 곳이다. 그냥 칼국수도 아니고 옛 맛을 지닌 손 칼국수가 무려 4500원이다. 손으로 뜬 수제비는 5000원, 칼국수와 수제비에서의 고민을 해결해주는 칼제비도 5000원이다. 육수는 깔끔하고 시원한 멸치 육수에 파와 깨 그리고 고소한 김이 듬뿍 들어간 맛이다. 마치 오픈 키친처럼, 사장님이 직접 반죽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신뢰가 간다. 칼국수에 빼놓을 수 없는 김치도 익은 김치, 생김치 두 가지로 준비돼 있어 가격 그 이상의 만족을 느낄 수 있다.
메뉴판을 보면 '이 가격이 가능할까' 의심부터 든다. 멸치국수, 콩나물밥 3000원,장터집국밥 4000원, 양평해장국 6000원이다. 두 가지 메뉴를 시켜도 만 원 한 장으로 해결되는 셈. 심지어 공깃밥 리필까지 가능하다. 그렇다면 맛은 어떨까. 40년 경력의 한식 조리장이 직접 조리하고, 엄선한 밴댕이와 대멸을 넣고 오랜 시간 직접 끓인 육수를 사용해 전통적인 맛이 느껴진다. 사장님이 혼자 운영하니 김치와 물, 식기 반납 등 소소한 일은 셀프다.